분류 전체보기 (16) 썸네일형 리스트형 자바스크립트 연속된 숫자 배열 생성하는 방법 연속된 숫자 배열이란? 코딩 테스트 문제를 풀다 보면, 길이가 N인 배열에 1부터 N까지의 값을 순서대로 넣은 배열이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 이러한 배열을 지칭하는 특별한 용어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이 글에서는 편의를 위해 이러한 배열을 연속된 숫자 배열이라고 칭하겠습니다. 순차 배열, 숫자 배열 등의 이름도 가능해 보입니다. 연속된 숫자 배열 생성 방법 길이가 N인 배열에 1부터 N까지의 값을 넣어 배열을 생성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다음은 자바스크립트에서 이러한 배열을 생성하는 방법들입니다. 길이가 5인 배열을 기준으로 설명하겠습니다. (1) for 반복문 사용 let arr = []; for (let i = 1; i i + 1); console.log(arr); // 출력: [1, 2,.. 자바스크립트 reduce 메서드 사용 방법 reduce 메서드란? 자바스크립트의 reduce 메서드는 배열의 각 요소에 대해 주어진 리듀서(reducer) 함수를 실행하고, 하나의 결과값을 반환합니다. 이 메서드는 배열 내의 숫자를 합치거나, 객체 내의 값들을 결합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데이터를 축소하는 데 유용합니다. reduce 메서드의 구조 array.reduce(function(accumulator, currentValue, currentIndex, array) { // 로직 실행 }, initialValue); accumulator : 이전에 호출된 콜백의 반환값이 누적되어 저장됩니다. 첫 번째 호출에서는 initialValue가 주어진 경우 그 값이, 아니면 배열의 첫 번째 요소가 됩니다. currentValue : 처리할 현재 요소.. 자바스크립트 Array.from() 메서드 사용 방법 Array.from() 메서드란? Array.from() 메서드는 다양한 객체들을 배열로 변환할 때 사용되는 자바스크립트의 내장 함수입니다. 이 메서드는 유사 배열 객체나 Iterable 객체 (예: Map, Set, 문자열 등)를 새로운 배열 인스턴스로 만들어 줍니다. 유사 배열 객체란 length 속성과 인덱스로 접근 가능한 요소를 가진 객체를 말합니다. Array.from()을 사용하면 실제 배열의 메서드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데이터를 더 쉽게 조작할 수 있습니다. Array.from() 메서드 기본 사용법 Array.from(arrayLike, mapFn, thisArg) arrayLike : 배열로 변환하고자 하는 유사 배열 객체나 Iterable 객체입니다. mapFn (선택 사항) : 배.. 자바스크립트 for in, for of 차이점 자바스크립트에서 for...in과 for...of는 모두 반복문(loop)을 위해 사용되는 구문입니다. 이들은 컬렉션의 요소를 순회하기 위해 사용되지만, 사용되는 컬렉션의 종류와 반복되는 방식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for in 반복문 for in 반복문은 객체의 모든 열거 가능한(enumerable) 속성에 대해 반복하고자 할 때 사용됩니다. 이 구문은 객체의 키(key)를 순회하는 데 주로 사용됩니다. const person = { name: 'John', age: 30 }; for (let key in person) { console.log(key + ': ' + person[key]); } 이 코드는 person 객체의 모든 속성을 순회하고, 각 속성의 키와 값을 출력합니다. for of 반복문 f.. 자바스크립트 Falsy 값 이해하기 자바스크립트에서 Falsy란? 자바스크립트에서 "falsy"라는 용어는 "거짓 같은" 값을 나타내며, 조건문에서 거짓으로 평가되는 값을 의미합니다. 즉, 이러한 값들은 if 조건문이나 논리 연산자와 함께 사용될 때 거짓(false)으로 처리됩니다. 자바스크립트에는 명확하게 거짓(false)은 아니지만, 거짓으로 취급되는 몇 가지 특정 값이 있습니다. 자바스크립트의 Falsy 값 자바스크립트에서 다음과 같은 값들은 Falsy로 간주됩니다. false : 불리언 거짓 값입니다. 0 : 숫자 0입니다. -0 : 음의 0입니다. 0n : BigInt 형식의 0, 큰 정수 리터럴에서 사용됩니다. "", '', ```` : 빈 문자열입니다. 즉, 내용이 없는 문자열입니다. null : "아무것도 없음"을 나타내는 .. 자바스크립트 유클리드 호제법으로 최대공약수, 최소공배수 구하기 유클리드 호제법이란? 유클리드 호제법(Euclidean algorithm)은 두 자연수 또는 정수의 최대공약수(Greatest Common Divisor, GCD)를 구하는 알고리즘입니다. 이 방법은 매우 오래되었으며, 기본적인 원리는 두 수의 차이를 이용해 최대공약수를 찾는 것입니다. 더 현대적인 버전에서는 나눗셈을 사용하여 더 빠르게 최대공약수를 찾습니다. 여기서는 나눗셈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설명하겠습니다. 유클리드 호제법 적용 방법 두 수를 준비합니다. 두 자연수 A와 B를 준비하며, A가 B보다 크거나 같다고 가정합니다. (A ≥ B) 나눗셈을 수행합니다. A를 B로 나눈 나머지를 구합니다. (A % B) 종료 조건을 확인합니다. 나머지가 0이면, B가 최대공약수(GCD)가 됩니다. 숫자를 교체합.. C# Early Return 패턴이란? Early Return 패턴이란? Early Return 패턴은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함수의 복잡성을 관리하고 코드의 명확성을 높이는 기법 중 하나입니다. 이 패턴의 핵심은 함수 내에서 특정 조건이 충족되지 않는 경우, 즉시 함수의 실행을 중단하고 값을 반환하는 것입니다. 이 방식은 함수가 더 깊은 로직으로 진입하기 전에 초기 조건을 검사하여, 조건에 부합하지 않을 경우 함수의 나머지 부분을 실행하지 않도록 합니다. 중첩된 조건문의 과도한 사용 예시 Early Return 패턴을 사용하지 않고, 대신 중첩된 조건문(if-else)을 사용할 경우, 코드의 깊이가 깊어지고 복잡성이 증가합니다. 중첩된 조건문을 과도하게 사용하면 코드가 점점 안쪽으로 들어가서, 마치 화살표와 같은 형태가 될 때도 있습니다. 다음.. C# 대리자(delegate)의 개념과 대리자를 사용하는 이유 대리자란 무엇인가? C#에서 대리자(delegate)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의 핵심 개념 중 하나로, 메서드를 참조하기 위한 타입입니다. 대리자를 사용하면 메서드를 변수처럼 저장하고, 매개변수로 전달하거나, 다른 메서드로부터 반환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프로그램의 유연성을 높여주며, 이벤트 처리, 콜백 함수 구현, 비동기 프로그래밍과 같은 고급 기능을 가능하게 합니다. 대리자를 사용하는 방법 대리자 선언 : 대리자 타입을 선언합니다. 이는 대리자가 참조할 메서드의 시그니처(반환 타입 및 매개변수)를 정의합니다. 대리자 인스턴스화 : 선언된 대리자 타입을 사용하여 대리자 인스턴스를 생성합니다. 이때, 대리자가 참조할 메서드를 지정합니다. 대리자 호출 : 대리자 인스턴스를 통해 메서드를 호출합니다. 대리자를.. 이전 1 2 다음